Economy
-
일본, 금융기관의 다양한 사업 전개를 위한 사업성장담보권 도입 추진Economy/Issues 2021. 12. 27. 15:22
일본, 금융기관의 다양한 사업 전개를 위한 사업성장담보권 도입 추진 최근 일본 정부는 금융기관이 다양한 사업자에 대한 사업지원을 할 수 있도록 사업자의 사업 전체를 평가해 담보로 설정하는 사업성장담보권 도입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금융청은 2020.12 사업자를 지원하는 융자, 재생실무 기본방향에 관한 연구회에서 논점정리를 통해 사업성장담보권 구상을 공표한 이후 실무관계자와 전문가들 중심으로 제도 설계와 구체적인 사례연구 등을 보완해 21.11월말 '논점정리 2.0'을 발표함 (자료:금융청) 현재 사업성장성담보권 도입 후 담보 범위 개별 자산에 대한 담보권만 인정 사업 전체에 대한 포괄담보권 가능 담보 대상 토지, 공장 등 유형자산 노하우, 고객기반 등 무형자산을 포함한 사업 전제 보호 우선권 사업가치 ..
-
2022 한국은행 통화신용정책 방향Economy/Issues 2021. 12. 27. 00:02
한국은행의 2022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보도자료 요약입니다. 통화정책은 경제상황 개선에 맞추어 완화 정도를 조정할 예정 금융중개지원대출의 정책효과 제고를 위한 중장기 개선 방안 마련 통화정책 운영체계의 점검·개선, 정책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을 통해 통화정책의 유효성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을 도모하는 가운데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될 것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를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지급결제의 인프라 개선 및 안전성 제고 기후변화의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앙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적극 수행 1. 기준금리 운용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중 목표수준(2%)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나 글로벌 공급병목 장기화, 수요 압력 확대,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 등으로 상승압..
-
Cases of normalization of monetary policy in the pastEconomy/Issues 2021. 12. 22. 22:53
Past normalization episodes During 2008-2014, the Fed implemented QE1 to 3 QE three times to respond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stimulate the economy, and carried out large-scale asset purchases in AMBS After the end of the tapering, interest rate hikes started at the end of 2015, and the balance sheet normalization work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2017 to August 2019 by reducing the le..
-
Changes in capital inflows from emerging countries before the 2013 Taper TentrumEconomy/Issues 2021. 12. 22. 22:44
However, in some cases, even if US monetary policy is normalized in the future, 1, the amount of capital inflows into emerging countrie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amount of capital inflows from emerging countries before the taper tentrum in 2013. 2.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inflows have already flowed abroad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There is also the ..
-
12월 #fomc 성명문 해석, 점도표Economy/Issues 2021. 12. 16. 04:25
The Federal Reserve is committed to using its full range of tools to support the U.S. economy in this challenging time, thereby promoting its maximum employment and price stability goals. 연준은 이 어려운 시기에 미국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모든 범위의 도구를 사용하여 최대 고용 및 물가 안정 목표를 촉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With progress on vaccinations and strong policy support, indicators of economic activity and employment have continued to str..
-
12월 fomc 점도표와 성명문 예상 (영국애널리스트)Economy/Issues 2021. 12. 16. 02:13
이번년 마지막 fomc를 앞두고 미증시는 큰 조정을 받고있다 영국 유저의 입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확인해보고 향방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애널리스트는 그림 1: FOMC 가 2022 년 5 월, 7 월, 11 월에 월 300 억 달러로 축소 속도를 두배로 높이고 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 하고 있다. 현재 테이퍼링이 시작됬고 연초까지 속도를 올린 후 빨간 표시된 회의가 포함된 달에 금리 인상 발표를 할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금리는 2022년에는 1.0가까이 2023년에는 1.5까지 2024년에는 2.0중반까지 증가할 것으로 12월 fomc 점도표에 전반적으로 22~24년까지 상향될것이라 반영해놓았내요. 12월 fomc 예상 회의록 12 월 FOMC 성명서 연준은 이 어려운 시기에 미국 경제를 지원하..
-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의 영향Economy/Issues 2021. 12. 13. 13:56
목적 금년 중 테이퍼링 개시 가능성이 매우 큰 상황이며, 시장참가자들은 내년 상반기 중까지 점진적으로 테이퍼링이 완료된 후 금리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따. 2013년 테이퍼링 발작 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확대되었던 경험에 비춰볼 때, 향후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테이퍼링 개시, 금리인상 개시로 인한 시나리오 3가지를 설정하여 영향 분석 과거 사례에 기반하여 기본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점차 충격이 강화되는 부정적 시나리오와 비관적 시나리오를 추가하여 해외금리 인상과 우리나라 위험프리미엄 확대를 통해 외환시장과 외화자금시장에 충격을 주는 것으로 가정한다. 테이퍼링은 기준금리 인상을 동반하지 않으나 미래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
-
과거 통화정책 정상화 사례Economy/Issues 2021. 12. 13. 13:54
과거 정상화 에피소드 연준은 2008~2014년 중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및 경기부양을 위해 QE1~3 세차례 양적완화를 실행했고 AMBS를 대규모 자산매입을 실행했다. 테이퍼링 종료 후 2015년 말부터 금리인상이 시작되었고, 2017년 10월부터 2019년 8월까지 보유자산 수준을 줄여나가는 대차대조표 정상화 작업이 이루어졌다. 연준은 2015년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 0.25에서 0.50%로 인상하여 제로금리 시대를 종료하였고 2016년 중 한 차례 더 인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