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5대 상사의 광산 소유 현황 분석 (2024년)Economy/Business 2025. 4. 26. 23:32
⛏️ 전 세계 자원을 움켜쥔 일본 상사들
지금 세계는 배터리, 전기차, 에너지 전환 시대! 이 흐름 속에서 일본의 5대 종합상사 – 미쓰이물산, 미쓰비시상사, 스미토모상사, 이토추상사, 마루베니상사 – 는 전통 자원부터 미래 금속까지, 전략적으로 광산을 소유하거나 지분 투자해왔어요.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으로 각 상사가 어떤 광산을, 어떤 방식으로 소유하고 있는지 싹 정리해볼게요!
미쓰이물산(Mitsui & Co.) - "철광석의 제왕, 이제는 리튬까지"
- 호주 철광석 강자: 필바라 지역 철광석 광산(Robe River 등)에 33% 지분 투자. BHP와 협력해 Mt.Newman, Yandi, Jimblebar 등 여러 광산에도 참여.
- 석탄 정리 완료: 발전용 열탄 광산은 모두 매각. 코킹탄(제철용)만 일부 유지 중.
- 구리 사업: 칠레 콜라후아시 광산 11% 투자, Anglo American Sur 프로젝트에도 참여.
- 니켈 투자: 필리핀 Taganito 니켈 제련 프로젝트 소수 지분 투자.
- 리튬 대시작: 2024년 브라질 '리튬 밸리' Atlas Lithium 3000만 달러 투자!
▶️ 요약:
철광석 + 제철석탄 기반 → 구리/니켈/리튬으로 전환 중!
"배터리 시대를 준비하는 종합상사 1위"미쓰비시상사(Mitsubishi Corporation) - "구리 제국 건설 중"
- BMA 석탄 합작 50% 지분: 호주 최대 코킹탄 회사 BHP Mitsubishi Alliance(BMA) 공동 소유.
- 구리 대확장:
- 칠레 Anglo American Sur 지분 24.5%
- 페루 Quellaveco 구리광산 지분 40%
- 페루 Antamina 광산 10%
- 배터리 금속 진출:
- 호주 Kalgoorlie Nickel 프로젝트 참여
- 캐나다 PAK 리튬 프로젝트 투자 시작
▶️ 요약:
석탄은 유지하되, 구리/니켈/리튬 쪽으로 대규모 투자 중!
"자원 제국 구축을 노리는 거대 상사"스미토모상사(Sumitomo Corporation) - "니켈과 구리로 재도약"
- 마다가스카르 Ambatovy 니켈 최대주주: 47.7% 지분.
- 구리 포트폴리오 재편:
- 칠레 Sierra Gorda 광산 지분 매각(2021)
- 칠레 Quebrada Blanca 2(QB2) 광산에 신규 투자.
- 석탄 철수: 과거 호주, 콜롬비아 석탄광산 투자 → 순차 매각.
▶️ 요약:
실패한 광산은 정리하고, 미래 핵심 자원(구리/니켈) 집중!
"조용히, 그러나 묵직하게 투자 전환 중"이토추상사(Itochu Corporation) - "철광석·코킹탄 투트랙 전략"
- 호주 철광석: BHP 철광석 광산에 약 8% 지분 보유.
- 브라질 철광석: CSN Mineração 지분 17.9% 확보 (2024년 추가 인수).
- 석탄 투자 이중전략:
- 제철용 석탄(Longview 광산) 신규 투자
- 발전용 열탄(콜롬비아 Drummond 등) 일부 유지, 신규 열탄 광산 개발은 중단.
- 배터리 원료 초기 투자: Nano One(캐나다 배터리 기술사) 등에 지분 투자.
▶️ 요약:
“고품질 철광석과 코킹탄 확보” + 미래 배터리 광물 준비!
"밸런스형 포트폴리오"마루베니상사(Marubeni Corporation) - "ESG 대표 주자"
- 칠레 구리광산 올인:
- Centinela 광산 30%
- Antucoya 광산 30%
- Los Pelambres 광산 12.48%
- 호주 Roy Hill 철광석: 15% 지분 투자.
- 석탄 철수 완료: 열탄·석탄 사업 100% 철수 완료(5대 상사 중 최초).
- 그린 메탈 전략: 알루미늄 제련소 투자, 재활용 금속 사업 확대.
▶️ 요약:
석탄 NO! 구리 YES!
"진짜 탈탄소를 실행한 상사"정리 ✨
상사 핵심 투자 광산 전략 키워드 미쓰이물산 철광석, 구리, 리튬 철강→배터리 금속 확장 미쓰비시상사 제철석탄, 구리, 니켈 석탄 강자+구리 제국 구축 스미토모상사 니켈, 구리 실패 자산 정리 후 핵심 집중 이토추상사 철광석, 코킹탄 안정적 원료 공급 + 초기 배터리 투자 마루베니상사 구리, 철광석 완벽 탈석탄 + ESG 강화 마무리 ✍️
일본 5대 상사는 단순히 '자원 개발'을 넘어,
탈탄소 시대에 맞는 새로운 포트폴리오로 대전환 중입니다.
특히 구리, 리튬, 니켈 등 배터리 핵심 금속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해요!앞으로 이 상사들이 세계 전기차,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얼마나 강력한 공급자가 될지, 기대해봐야겠죠?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좋아요와 공유 부탁드려요!
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2024년 일본 5대 상사의 광산 투자 현황 보고서
개요 (Introduction)
일본의 5대 종합상사 – 미쓰이물산, 미쓰비시상사, 스미토모상사, 이토추상사, 마루베니상사 – 는 전 세계 주요 자원 개발에 폭넓게 참여하여 금·은·구리·리튬·니켈·철광석·석탄 등을 확보해왔습니다. 본 보고서는 2024년을 기준으로 각 사별 광산 자산과 투자 현황을 정리합니다. 특히 광산별 위치(국가), 주요 생산 광물, 상사의 지분 형태(직접 소유 또는 지분 투자) 등을 표로 명확히 구분하였으며, 최근 몇 년간의 투자 확대 또는 철수 동향도 함께 분석합니다mitsui.comreuters.com. 이를 통해 일본 종합상사들의 자원 개발 전략과 변화 경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미쓰이물산 (Mitsui & Co.)
미쓰이물산은 전통적으로 철광석과 석탄 개발에 강점을 보여왔으며, 최근에는 구리, 니켈, 리튬 등 비철금속 자원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mitsui.commitsui.com. 다음 표는 미쓰이물산의 주요 광산 투자 현황을 정리한 것입니다.
- 철광석 자산: 호주 서부 필바라(Pilbara) 지역의 거대 철광석 광산 개발에 BHP와 Rio Tinto 등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BHP와의 합작으로 Mt. Newman, Yandi, Jimblebar 등 여러 철광석 광산 지분을 소유하고 있으며, Rio Tinto 주도의 Robe River 철광 사업에도 약 33% 참여하고 있습니다mitsui.commitsui.com. 또한 2003년 브라질 Vale사에 전략 투자하여 철광석 사업 파트너십을 유지해왔습니다mitsui.com. 이러한 투자를 통해 미쓰이물산은 일본과 세계 철강산업에 안정적인 철광석 공급을 기여하고 있습니다.
- 석탄 자산: 미쓰이물산은 호주에서 여러 코킹(제철용) 석탄 광산에 투자해왔습니다. 모란바 노스(Moranbah North) 및 그로스베너(Grosvenor) 등 Anglo American과의 합작 광산 지분을 보유했고, 다우슨(Dawson), 저먼크릭(German Creek), 케스트렐(Kestrel) 등에도 참여했습니다mitsui.com. 한편 발전용 열탄(thermal coal) 분야에서는 ESG 흐름에 따라 철수하여, 현재 미쓰이물산은 순수 열탄 광산 지분을 일체 보유하지 않습니다mitsui.com. 실제로 2022년에는 BHP와의 합작사 BMC(미쓰이물산 20% 지분)의 석탄 자산을 매각하였고mitsui.com, 향후 열탄 신규 투자를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천명했습니다mitsui.com.
- 구리 자산: 칠레의 세계적 구리광산인 콜라후아시(Collahuasi)와 Anglo American Sur 프로젝트 등에 직접 지분 투자하고 있습니다mitsui.com. 콜라후아시의 경우 미쓰이물산은 일본 컨소시엄의 주관사로서 20여 년 전부터 참여해왔으며, 현재 약 11% 내외 지분을 보유하여 Anglo American 및 Glencore와 공동 운영 중입니다mitsui.commitsui.com. 또한 Anglo American Sur(칠레 로스브론체스 등 포함) 지분에도 참여하여 안정적 구리 확보량을 연간 약 12만톤 이상 확보하고 있습니다mitsui.commitsui.com. 2018년에는 Collahuasi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한편, 다른 구리 자산(로스펠람브레스 광산 지분)을 매각하여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바 있습니다 mitsui.com.
- 니켈 자산: 필리핀 Taganito 고압산침출(HPAL) 니켈 제련 프로젝트에 소수 지분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mitsui.commitsui.com. 이 프로젝트는 스미토모금속광산(SMM)이 운영하는 세계적 니켈 생산 사업으로, 미쓰이물산은 니켈 원료 확보와 사업 경험 축적을 위해 일부 투자한 상태입니다. 이 밖에도 인도네시아 등지의 니켈 프로젝트에도 관심을 보이며,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리튬 자산: 미쓰이물산은 배터리 핵심광물인 리튬 사업에 최근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브라질 “리튬 밸리” 지역에서 광산을 개발 중인 Atlas Lithium Corporation에 3천만 달러를 투자하여 지분을 확보했습니다mitsui.com. Atlas 사의 브라질 Neves 리튬 프로젝트는 2024년 말부터 연간 30만 톤의 리튬 정광(스포듀민)을 생산할 계획으로, 이는 전기차 약 100만 대분 배터리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mitsui.commitsui.com. 미쓰이물산은 이 투자로 향후 리튬 생산량의 오프테이크(off-take) 권리도 확보하여 배터리 및 자동차 업계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예정입니다mitsui.commitsui.com. 이처럼 미쓰이물산은 탈탄소 시대에 필수적인 배터리 금속 부문을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미쓰이물산 주요 광산 투자 목록 (2024년 기준):
광산/프로젝트 위치 (국가) 주요 광물 지분 및 소유 형태 Robe River 철광석 광산 호주 (필바라) 철광석 33% 지분 투자 (Rio Tinto 53%, 일본제철 14%)mitsui.com Mt. Newman·Yandi 등 철광석 호주 (필바라) 철광석 약 7~10% 지분 투자 (BHP Billiton 주도)mitsui.com Vale(브라질 광산 기업) 브라질 철광석 등 지분 투자 (2003년부터 전략적 파트너)mitsui.com Dawson·German Creek 석탄 호주 (퀸즐랜드) 코킹(제철)탄 지분 투자 (국제 광산사와 합작)mitsui.com Moranbah North·Grosvenor 석탄 호주 (퀸즐랜드) 코킹(제철)탄 ~10% 지분 투자 (Anglo American 90%)mitsui.com Collahuasi 구리 광산 칠레 (타라파카) 구리(+몰리브데넘) 약 11% 지분 투자 (Glencore/Anglo 각 44%)mitsui.commitsui.com Anglo American Sur 프로젝트 칠레 (앙데스 산맥) 구리 소수 지분 참여 (Anglo American 주도)mitsui.com Taganito 니켈 제련 필리핀 (수리가오) 니켈 (HPAL) 소수 지분 투자 (SMM 운영)mitsui.com Atlas Lithium (Neves 프로젝트)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리튬 (정광) 지분 투자 (미쓰이물산+오프테이크 계약)mitsui.commitsui.com 투자 동향: 미쓰이물산은 전통 강세 분야인 철광석·제철석탄에서 쌓은 수익 기반을 바탕으로, 전기차 및 청정에너지 수요 증대에 맞춰 구리·니켈·리튬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습니다mitsui.commitsui.com. 특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석탄 사업에서는 발전용 열탄을 모두 정리하고, 리튬 및 재활용 사업 등에 집중 투자하는 추세가 뚜렷합니다mitsui.commitsui.com. 미쓰이물산은 “안정적 자원 공급”을 중시하면서도 고품질 자산으로의 재편과 장기적 성장 분야 선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mitsui.commitsui.com.
미쓰비시상사 (Mitsubishi Corporation)
미쓰비시상사는 석탄·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 분야 비중이 크지만, 광산 자원으로도 철강 원료(철광석·코크스탄)와 비철금속(구리·니켈 등)에 다양하게 투자해왔습니다en.wikipedia.org. 또한 국제 광산 메이저들과 전략적 제휴를 맺어 거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024년 현재 주요 자산 및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철광석 자산: 미쓰비시상사는 호주 철광석에는 직접 지분 참여보다는 철광석 트레이딩 및 파트너십 위주로 관여해왔습니다. 다만 브라질 미나스리오(Minas-Rio) 철광석 프로젝트 등에 한때 관심을 보였고, 서호주 신규 광산 개발에도 협력 모색을 한 바 있습니다. 주요 철광석 투자로는 2018년 페루 퀠라베코(Quellaveco) 구리 프로젝트 지분 인수 시에 앵글로아메리칸과의 관계 강화로 철광석 부문 정보 교류를 늘린 사례 등이 있습니다 (직접 지분은 없으나 철광석 사업 역량 보유).
- 석탄 자산: 미쓰비시상사는 호주 제철용(코킹) 석탄 부문 세계 최대 기업 중 하나인 BMA(BHP Mitsubishi Alliance)의 50% 지분 공동소유자입니다en.wikipedia.org. BMA는 BHP와 미쓰비시가 각각 50%씩 소유한 합작사로, 퀸즐랜드 지역의 캐벌리지(Caval Ridge), 피크다운즈(Peak Downs), 새라지(Saraji) 등 다수의 대형 탄광을 운영하며 연간 수억 톤 규모의 고품질 석탄을 생산합니다en.wikipedia.org. 이를 통해 미쓰비시상사는 일본 제철소와 아시아 시장에 안정적으로 원료탄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한편 발전용 열탄 사업은 축소 추세로, 인도네시아 등 일부 해외 광산 지분을 정리하고 탈석탄 기조에 부응하고 있습니다ieefa.org.
- 구리 자산: 미쓰비시상사는 칠레와 페루의 거대 구리 프로젝트에 적극 투자해왔습니다. 칠레에서는 2011년 Anglo American으로부터 Anglo American Sur 지분 24.5%를 약 54억 달러에 인수하여, 로스브론체스(Los Bronces)및 엘솔다도(El Soldado) 구리광산, 칠레 구리제련소(Chagres)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페루에서는 Anglo American과 함께 퀠라베코(Quellaveco) 구리광산을 개발하여 40% 지분을 확보했습니다reuters.com. 퀠라베코는 2022년부터 가동을 시작한 신예 대형 광산으로, 미쓰비시상사는 지분 확대를 위해 추가 6억 달러를 투자하여 Anglo 지분을 60%로 줄이고 본인은 40%까지 늘렸습니다reuters.com. 이 두 프로젝트를 통해 미쓰비시상사는 연간 상당량의 구리 생산권을 확보하고 있으며, 안타미나(Antamina) 구리-아연 광산(페루)에도 10% 지분을 보유하여 꾸준한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en.wikipedia.org. 안타미나는 BHP(33.75%)-Glencore(33.75%)-Teck(22.5%)-미쓰비시(10%) 합작으로 운영되는 세계급 광산입니다.
- 니켈·배터리 금속: 최근 미쓰비시상사는 전기차 배터리 소재 확보를 위해 니켈 및 리튬 프로젝트에 신규 진출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에는 스미토모금속광산(SMM)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호주 Kalgoorlie Nickel Project (Goongarrie)에 참여, 향후 50% 지분 인수를 목표로 약 9,850만 호주달러 규모의 예비 타당성조사(DFS)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mitsubishicorp.commitsubishicorp.com. 이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급 매장량을 지닌 니켈-코발트 광으로, 연간 니켈 3만톤·코발트 2천톤 생산을 전망하고 있어 배터리 수요 대응에 전략적인 투자로 평가됩니다mitsubishicorp.com. 또한 캐나다 온타리오의 PAK 리튬 프로젝트에도 2024년 3월 프론티어 리튬(Frontier Lithium)과 합작하여 7.5% 지분을 취득(향후 25%까지 옵션)하며 첫 리튬 광산 투자를 단행했습니다newswire.canewswire.ca. 이는 미쓰비시상사의 배터리 소재 분야 진출 신호탄으로, 북미 전기차 공급망에 기여할 전망입니다newswire.canewswire.ca.
미쓰비시상사 주요 광산 투자 목록 (2024년 기준):
광산/프로젝트 위치 (국가) 주요 광물 지분 및 소유 형태 BMA 석탄 합작사 (여러 광산) 호주 (퀸즐랜드) 코킹(제철)탄 50% 공동소유 (BHP 50%: 미쓰비시 50%)en.wikipedia.org Anglo American Sur 칠레 (앙데스 산맥) 구리 24.5% 지분 투자 (Anglo American 75.5%) Quellaveco 구리 광산 페루 (모케구아) 구리 40% 지분 투자 (Anglo American 60%)reuters.com Antamina 구리-아연 광산 페루 (안데스 산맥) 구리, 아연 10% 지분 투자 (BHP/Glencore/Teck 합작)en.wikipedia.org PAK 리튬 프로젝트 캐나다 (온타리오) 리튬 (스포듀민) 7.5% 지분 (JV, 최대 25%까지 옵션)newswire.canewswire.ca Kalgoorlie 니켈 프로젝트 호주 (서호주) 니켈, 코발트 50% 지분 예정 (현재 JV 통해 투자 중)mitsubishicorp.commitsubishicorp.com (과거) Cerrejón 석탄광산 등 콜롬비아 등 열탄 (과거 지분 있었으나 현재 철수) 투자 동향: 미쓰비시상사는 전통 에너지 자산에 편중된 포트폴리오를 점차 광산·금속으로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제철용 석탄 부문에서는 경쟁우위(BMA)를 지속 유지하면서도, 구리 자산을 공격적으로 확대한 것이 눈에 띕니다reuters.com. 2010년대 초 거액을 들여 Anglo 칠레 구리광과 페루 신규 광산에 투자함으로써, 연간 수십만 톤 규모의 구리 생산 권리를 확보하였습니다. 한편 석탄·발전 부문의 탈탄소화 압력에 대응하여 열탄 자산을 축소하고, 니켈·리튬 등 배터리 금속 분야로 신규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newswire.camitsubishicorp.com. 미쓰비시상사는 2020년대 중반 에너지 전환 가속 전략을 통해 “탈탄소 사회에 필수적인 자원 공급자로 변모”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mitsubishicorp.com, 이에 따라 미래차 소재와 청정에너지 금속 확보에 주력하는 추세입니다.
스미토모상사 (Sumitomo Corporation)
칠레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로스펠람브레스(Los Pelambres) 구리광산 전경. 마루베니상사가 12.48% 지분을 보유한 이 광산은 일본 종합상사들이 해외 자원 개발에 참여하여 안정적 구리 확보에 기여한 대표적 사례이다marubeni.com.
스미토모상사는 비철금속 분야 투자와 아프리카 등 고위험 지역 프로젝트 참여가 돋보입니다. 한때 금·은·동 광산의 대명사였던 스미토모 그룹의 전통에 따라, 스미토모상사도 자원개발에 적극 나섰으나 최근에는 손실 사업 정리와 전기차 금속 투자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주요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니켈 자산: 스미토모상사는 마다가스카르 Ambatovy 니켈-코발트 프로젝트의 최대 투자자입니다. Ambatovy는 세계적인 규모의 라테라이트 니켈 제련 프로젝트로, 스미토모상사는 2017년 구조조정 이후 47.7% 지분으로 1대 주주가 되었습니다reuters.com. (한국 광물자원공사 32.8%, Sherritt 12% 등 참여) 이 광산은 연 6만 톤 규모 니켈 생산능력을 목표로 하나 가동 초기에 여러 차질을 빚어, 스미토모상사가 막대한 손실을 인내하며 운영 지속을 지원해왔습니다reuters.com. 2019년 일시 가동중단 등 어려움 속에서도 2021년 생산을 재개하고 향후 정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reuters.com. Ambatovy 투자 경험은 스미토모상사에 아프리카 자원사업의 높은 리스크를 일깨워주었고, 이후 투자에 신중을 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구리 자산: 스미토모상사는 칠레와 페루의 구리 광산에도 참여했습니다. 칠레 시에라 고르다(Sierra Gorda) 구리광산의 경우 폴란드 KGHM과 합작으로 2014년 시작되었으나, 예상 대비 부진한 생산으로 고전했습니다. 결국 2021년에 스미토모금속광산(31.5%) 및 스미토모상사(13.5%) 보유 지분 45% 전량을 호주 South32사에 약 15.5억 달러에 매각하며 철수했습니다reuters.comreuters.com. 대신 칠레에서는 캐나다 Teck사와 함께 케브라다 블랑카(Quebrada Blanca) 2 구리 프로젝트에 투자하여 입지를 옮겼습니다. 2018년 스미토모금속광산+스미토모상사 컨소시엄이 30% 지분을 12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Teck의 파트너가 되었고reuters.com, 이 광산은 2023년말 상업생산을 개시해 향후 연 30만 톤 급 생산을 기대하고 있습니다reuters.com. 또한 미국·호주 등에서도 구리 사업에 직간접 참여 중이며, 페루의 Yanacocha 금-구리 광산에도 일시 지분 투자 경험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과거 보유했던 구리 자산 일부(시에라 고르다 등)를 매각하고, 손익 개선된 신규 프로젝트(QB2)로 갈아탄 상황입니다.
- 철광석·석탄 자산: 스미토모상사는 철광석 분야에서는 브라질 밴투(Vale)사와 협력하거나 남아공 등의 소규모 광산 지분을 보유한 정도로, 경쟁사 대비 두드러진 자산은 없습니다sumitomocorp.com. 석탄 분야에서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의 마울스크리크(Maules Creek) 탄광에 지분(약 5~15%)을 참여시켜 Whitehaven사와 협업한 바 있고, 호주 롤스톤(Rolleston) 탄광에도 이토추상사와 함께 소수지분을 투자했었습니다. 그러나 탈석탄 기조에 따라 2019년 이후 이러한 석탄 지분을 순차 매각하며 철수하였고, 발전 부문은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습니다.
- 금·귀금속 자산: 직접적인 금광 투자보다는 지분 파이낸싱 위주로 관여했습니다. 페루 야나코차(Yanacocha) 금광에 한때 지분 5%를 보유한 적 있고, 호주 북파크스(Northparkes) 금-구리 광산의 간접적 참여 등 사례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룹 계열사인 스미토모금속광산이 일본 히샤ikari 금광 등을 운영하는 반면, 스미토모상사 자체의 금·은 자산 보유는 드뭅니다.
스미토모상사 주요 광산 투자 목록 (2024년 기준):
광산/프로젝트 위치 (국가) 주요 광물 지분 및 소유 형태 Ambatovy 니켈 프로젝트 마다가스카르 니켈, 코발트 47.7% 지분 (최대주주, 韓·加 업체와 공동)reuters.com Sierra Gorda 구리 광산 (매각) 칠레 (안토파가스타) 구리, 몰리브덴 (기존 13.5% → 2021년 South32에 매각 완료)reuters.com Quebrada Blanca 2 (QB2) 칠레 (타라파카) 구리 30% 지분 (SMM+SC 공동, Teck 60%)reuters.comreuters.com Rollingen (Rolleston) 석탄 (매각) 호주 (퀸즐랜드) 열탄 (과거 12.5% 지분 → 매각 철수) Maules Creek 석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유연탄(혼합) 약 5-15% 지분 (화이트헤이븐사 운영) (과거) Yanacocha 금광 페루 (카하마르카) 금, 은 (과거 5% 지분 투자 → 매각) Winu 구리-금 탐사 호주 (서호주) 구리, 금 (2024년 리오틴토와 30% 지분 인수 기본합의) 투자 동향: 스미토모상사는 2010년대 대규모 투자의 성과 부진으로 포트폴리오 조정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Ambatovy 니켈과 Sierra Gorda 구리에서 연속 손실을 입자, 손실자산 매각(Sierra Gorda)과 사업 지속(Ambatovy 구조조정)을 통해 재무 안정에 힘썼습니다reuters.comreuters.com. 대신 칠레 QB2 구리광산 등 유망 신규 사업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향후 전기차 등에 쓰일 구리·니켈 공급원을 확보하려 합니다reuters.comreuters.com. 또한 탈탄소 흐름에 맞춰 석탄·금광 등 전통자원에서 철수하고, 리튬이나 희소금속 분야의 전략적 투자도 모색 중입니다. 예컨대 2024년 12월 리오틴토와 호주 Winu 구리·금 프로젝트 지분 30% 인수를 위한 합의를 발표하며 귀금속/구리에 재도전하고smm.co.jp, 호주 Speewah 불소광산(플루오라이트)개발에도 협력하는 등 사업 저변을 넓히고 있습니다listcorp.com. 종합적으로, 스미토모상사는 과거 실패를 교훈삼아 핵심자산 위주로 재편하면서도 미래 수요 자원에 대한 선택적 투자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이토추상사 (Itochu Corporation)
이토추상사는 에너지·식품 등 소비재 분야가 강점이지만, 호주와 남미의 광산 투자에도 활발히 나서왔습니다. 특히 철광석과 석탄에서는 미쓰이물산과 더불어 일본 철강업계 원료 확보의 쌍벽을 이룹니다. 2024년 현재 이토추의 주요 광산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철광석 자산: 이토추상사는 호주 BHP 철광석 광산들의 주요 파트너입니다. 서호주 필바라 지역의 BHP Billiton 운영 철광석 광산(예: Mt. Newman, Yandi 등)에 약 8% 내외 지분으로 참여하여, 미쓰이물산(7%)과 함께 BHP 철광석 사업의 일부를 보유 중입니다mitsui.com. 또한 2021년에는 미쓰이와 동시에 BHP의 신규 웨스턴리지(Western Ridge) 철광석 매장지 지분을 각각 8% 인수하여 향후 개발 권리를 확보했습니다mitsui.commitsui.com. 이토추는 브라질 철광석에도 투자했는데, 2008년부터 CSN 미네라상(~현재 CSN Mineração)의 지분 7.15%를 보유해왔습니다itochu.co.jp. 2024년 11월에는 추가 약 10.74% 지분(약 1170억엔 상당)을 매입하여, 브라질 2위 철광석 생산업체인 CSN Mineração의 총 17.9% 지분을 확보했습니다itochu.co.jp. 이 회사는 Casa de Pedra라는 대형 철광석 광산을 운영하며 2023년에 4,300만 톤 판매로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린 바 있습니다itochu.co.jp. 이를 통해 이토추상사는 고품위 철광석 자원의 장기 확보와 탈탄소 고로용 원료 공급 (DRI 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석탄 자산: 이토추상사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미주 지역 석탄 광산에도 적극적입니다. 콜롬비아의 거대 발전용 탄광인 Drummond社에 2011년 약 20% 지분을 투자하여 현재까지 파트너로 있으며, 콜롬비아산 양질의 열탄을 일본 및 아시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는 화이트헤이븐(Whitehaven)사의 Maules Creek 신탄광 개발에 15% 지분으로 참여하여 2015년부터 연간 1천만 톤급 석탄을 생산 중입니다. 또 Glencore사 주도의 Rolleston 열탄광 지분 12.5% (스미토모상사 12.5%)를 한때 보유했으나, 2018년 해당 지분을 매각하며 석탄 포트폴리오를 정리했습니다. 한편 미국에선 2019년 AMCI 등과 함께 웨스트버지니아주의 Longview 코킹석탄광 개발에 참여, 25% 지분을 취득했습니다itochu.co.jpitochu.co.jp. Longview 광산은 2022년 말 상업생산을 시작하여 연 400만 톤의 양질의 강점탄(High-Vol A)을 생산할 예정이며, 이토추상사는 POSCO 등과 함께 생산물의 글로벌 판매를 전담하는 JV도 설립했습니다itochu.co.jpitochu.co.jp. 이처럼 이토추상사는 제철용 석탄 분야에서는 신규 투자, 열탄 분야에서는 단계적 축소라는 이중 전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석탄사업 철수 선언으로 향후 열탄 신규개발은 중단 방침ieefa.org.)
- 비철금속 자산: 이토추상사는 동남아 및 아프리카의 비철금속 광산에도 일부 참여해왔습니다. 인도네시아 니켈, 카자흐스탄 희소금속 등의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졌으나, 아직 대규모 지분 투자는 없습니다. 다만 2022년 캐나다 기업 Nano One(배터리 소재 기술)에 투자하거나, 미쓰비시상사 등과 함께 호주 리튬 정제 사업을 검토하는 등 배터리 소재 밸류체인에 진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전통적 금속 분야에서는 우라늄(캐나다 Cigar Lake 광산 컨소시엄 소참여) 정도가 알려져 있습니다.
이토추상사 주요 광산 투자 목록 (2024년 기준):
광산/프로젝트 위치 (국가) 주요 광물 지분 및 소유 형태 BHP WAIO 철광석 (Mt.Newman 등) 호주 (필바라) 철광석 약 8% 지분 (BHP 85%, 미쓰이 ~7%)mitsui.com Western Ridge 철광석 매장지 호주 (필바라) 철광석 8% 지분 (BHP 85%, 미쓰이 7%)mitsui.com CSN Mineração (Casa de Pedra)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철광석 17.9% 지분 (2024년에 10.74% 추가인수)itochu.co.jpitochu.co.jp Drummond 탄광 콜롬비아 (세사르) 열탄 20% 지분 (미국 Drummond사 80%) Maules Creek 탄광 호주 (NSW) 반연성탄(발전/제철) 15% 지분 (Whitehaven사 75%, J-POWER 10%) Longview 코킹탄광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코킹탄 25% 지분 (AMCI 42%, POSCO 22% 등)itochu.co.jpitochu.co.jp (과거) Rolleston 탄광 호주 (퀸즐랜드) 열탄 (과거 12.5% → 매각 완료) (과거) Carmichael 탄광 호주 (퀸즐랜드) 열탄 (초기 투자 검토했으나 철회) 투자 동향: 이토추상사는 철광석과 제철원료 분야에서 지속적인 투자 확대를 보입니다. 브라질 고품위 철광석에 추가 투자를 단행한 것은 철강 탈탄소화 시대에 고급 원료 확보를 선점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itochu.co.jpitochu.co.jp. 한편 석탄 분야에서는 이중적 전략이 두드러지는데, 발전용 석탄 사업은 환경 압박에 따라 철수하면서도ieefa.org 제철용 석탄(코킹탄)은 오히려 북미 등지에서 신규 투자를 늘렸습니다itochu.co.jp. 이는 향후 전기로 전환이 가속돼도 고품질 코크스탄 수요는 꾸준할 것이라는 판단에 기반합니다. 또한 이토추상사는 본업인 트레이딩 강점을 살려 광산 투자와 연계한 물량 확보 및 판매에 집중하고 있으며, 다운스트림(제철·화학)과의 시너지를 중시합니다. 최근에는 다른 상사들과 마찬가지로 배터리 원료 사업에도 관심을 가지며, 리튬 정광/정제 프로젝트나 혁신 소재 기업에 선택적으로 투자하는 등 미래 자원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마루베니상사 (Marubeni Corporation)
마루베니상사는 칠레 구리 및 호주 철광석 프로젝트에 두드러진 입지를 구축한 종합상사입니다. 과거에는 석탄사업에서 손실을 본 후 과감히 철수하고, 탈탄소 트렌드에 부합하는 금속 자원에 집중해온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리 자산: 마루베니상사는 칠레의 거대 구리광산 세 곳에 모두 지분 참여하고 있습니다. 세계 유수의 구리 생산업체인 Antofagasta PLC와 제휴하여 센티넬라(Centinela) 및 안투코야(Antucoya) 구리광산의 30% 지분을 보유하고, 로스펠람브레스(Los Pelambres) 광산에도 12.48% 지분을 투자하고 있습니다marubeni.com. 센티넬라와 안투코야는 칠레 북부에 위치한 대형 노천광으로, Antofagasta가 70% 운영권을, 마루베니가 30%를 각각 갖고 있으며 연간 수십만 톤의 구리를 생산합니다. 로스펠람브레스는 칠레 중부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우수한 광산으로, 마루베니는 이 광산 지분을 2018년 미쓰이물산 및 JX금속으로부터 일부 인수하여 현재 12.48%까지 늘렸습니다marubeni.com. 마루베니는 이들 광산으로부터 매년 구리정광 약 16만 톤 상당(동 함유량 기준)의 지분 생산량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 기업 중 최고 수준의 구리 확보량입니다marubeni.commarubeni.com. 또한 세 광산 모두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운영되고 Copper Mark 인증을 획득하는 등 ESG 측면에서도 앞서 나가고 있어, 마루베니의 탈탄소 전략과 부합하는 핵심 자산입니다marubeni.commarubeni.com. 앞으로 센티넬라 광산 확장 및 주변 매장지 개발에도 추가 투자하여 자산 가치를 높일 계획입니다marubeni.com.
- 철광석 자산: 마루베니상사는 호주 로이힐(Roy Hill) 철광석 프로젝트의 주요 투자자입니다. 로이힐은 호주 민간 광산업체 핸콕(Hancock Prospecting)이 주도한 서호주의 대형 철광석 광산으로, 마루베니가 15% 지분을 출자하였고 한국 포스코(12.5%), 중국철강기업(2.5%) 등이 참여했습니다marubeni.com. 2015년 가동된 로이힐 광산은 연 6천만 톤 이상 생산능력을 갖춘 단일 광산으로는 거대 규모이며, 전용 철도와 항만까지 일괄 보유한 통합형 프로젝트입니다marubeni.com. 마루베니는 이를 통해 일본과 아시아시장에 철광석을 안정 공급함과 동시에 상당한 투자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한편 마루베니는 과거 캐나다 석탄광(그란데 캐시 등)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보고 철수한 경험이 있는데, 이로 인해 석탄 등 화석연료 광산에서 전략적 탈출을 발표하였습니다. 2020년대 초 모든 운영 중인 열탄 광산 지분을 매각 완료하여 현재는 석탄 광산 투자가 전무하며ieefa.org, 이는 5대 상사 중 가장 앞선 탈석탄 행보로 평가됩니다.
- 알루미늄·희유금속 자산: 마루베니는 금속자원의 밸류체인 강화를 위해 알루미늄 제련 사업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알루에트(Alouette) 알루미늄 제련소에 13.3% 지분을 보유하며, 호주 포틀랜드(Portland) 제련소 22.5%, 보인(Boyne) 제련소에도 일부 지분을 참여합니다marubeni.com. 이들 제련소는 수력 등의 청정에너지로 가동되어 저탄소 알루미늄을 생산하고 있으며, 마루베니는 ASI 인증 획득 등을 통해 지속가능성도 확보하고 있습니다marubeni.commarubeni.com. 또한 일본 내 재활용 금속 사업, 인도 등의 철스크랩 리사이클 기업에도 투자하여 순환경제형 사업을 확대 중입니다.
마루베니상사 주요 광산 투자 목록 (2024년 기준):
광산/프로젝트 위치 (국가) 주요 광물 지분 및 소유 형태 Centinela 구리 광산 칠레 (안토파가스타) 구리, 금 30% 지분 (안토파가스타 70% 운영)marubeni.com Antucoya 구리 광산 칠레 (안토파가스타) 구리, 몰리브덴 30% 지분 (안토파가스타 70%)marubeni.com Los Pelambres 구리 광산 칠레 (코킴보) 구리, 몰리브덴 12.48% 지분 (안토파가스타 60%, 기타 일본 컨소시엄 나머지)marubeni.com Roy Hill 철광석 광산 호주 (필바라) 철광석 15% 지분 (Hancock 70%, POSCO 12.5% 등)marubeni.com (과거) Grande Cache 석탄 캐나다 (앨버타) 고형탄 (강점탄) (과거 10% 지분 → 2014년 매각) (과거) Ensham 석탄광 호주 (퀸즐랜드) 열탄 (과거 지분 참여 → 매각 완료) Alouette 알루미늄 제련소 캐나다 (퀘벡) 알루미늄 13.3% 지분 (현지 합작)marubeni.com Portland 알루미늄 제련소 호주 (빅토리아) 알루미늄 22.5% 지분 (알코아 등 합작)marubeni.com 투자 동향: 마루베니상사는 탈탄소 시대를 대비해 포트폴리오를 과감히 재편한 사례로 꼽힙니다. 석탄 사업 철수를 신속히 실행해 현재 운영 중 열탄 광산 지분이 전무하며ieefa.org, 이는 석탄가격 급락기 손실을 겪은 후의 결단이었습니다maritime-executive.commaritime-executive.com. 그 대신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모두 충족하는 구리와 철광석 자산에 집중하여, Antofagasta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대형 구리 프로젝트 참여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marubeni.com. 특히 전 세계 구리수요 증가 전망에 맞춰 칠레 구리광산 지분을 유지·확대하고 있고, 모든 광산에서 재생에너지 전력 활용 등 ESG 경영도 선도하고 있습니다marubeni.com. 또한 철광석 부문에서도 인프라 통합형인 로이힐 광산 투자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하였고, 알루미늄 제련 분야 투자로 경금속 수요 대응 및 밸류체인 확장을 꾀하고 있습니다marubeni.com. 마루베니는 “그린 메탈” 전략을 표방하며 재활용 및 친환경 소재 사업도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보는 워런 버핏이 일본 상사 중 마루베니를 주목하게 만든 요인 중 하나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마루베니상사는 탄소집약산업에서 발빠르게 발을 빼고, 향후 성장할 자원에 집중하는 선택과 집중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2024년 시점 일본 5대 상사의 광산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전기차·탈탄소화에 따른 자원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포트폴리오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쓰이물산과 마루베니상사는 리튬·니켈·구리 등 청정에너지 금속을 대폭 강화했고mitsui.commitsubishicorp.com, 미쓰비시상사도 대규모 구리 광산 지분 확대와 배터리 광물 첫 투자에 나섰습니다reuters.comnewswire.ca. 이토추상사는 고품위 철광석과 제철용 석탄에 투트랙 전략을 보이며, 스미토모상사는 손실자산 정리 후 핵심 구리·니켈 자산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reuters.comreuters.com. 한편, 석탄(특히 열탄)과 석유 등 고탄소 자산을 축소하는 움직임도 뚜렷합니다ieefa.orgmitsui.com. 이러한 변화는 일본 종합상사들이 전통적 자원개발 역할에서 “탈탄소 시대 자원 공급자”로 전략적 변신을 시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향후 이들 기업의 행보는 글로벌 자원 시장과 에너지 전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투자 성패는 원자재 가격 동향과 기술 혁신, ESG 요구 등에 달려 있을 것입니다. 본 보고서가 제시한 정량·정성 분석은 일본 상사들의 자원 사업 방향을 이해하는 데 밑바탕이 되며, 이는 국내 기업들의 자원 확보 전략 수립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것입니다.
참고자료: 미쓰이물산·미쓰비시상사·스미토모상사·이토추상사·마루베니상사 각 사 홈페이지 및 보도자료mitsui.commarubeni.com, 로이터·니케이 등 뉴스 보도reuters.comreuters.com, 2024년 업계 보고서 등. 각각의 출처는 본문에 각주 형식으로 표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