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커피 원두 도매 구매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까? 핵심 가이드
    Coffee 2025. 1. 30. 17:42

    카페를 운영하거나, 커피 유통 사업을 시작하려고 할 때 커피 원두를 도매로 구매하는 방법이 궁금했다. 원두의 종류도 많고, 구매 방식도 다양해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다. 직접 원산지에서 수입하는 게 좋은지, 국내 도매업체를 활용하는 게 나은지, 혹은 온라인 도매 플랫폼을 이용하는 게 효율적인지 고민이 많았다. 그래서 커피 원두의 종류부터 도매 구매 프로세스, 유통 과정까지 정리해보았다.

    커피 원두 도매 구매,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까? 핵심 가이드

    ​​커피 도매 구매 방법 및 프로세스 분석

    커피를 도매로 구매하는 방법은 원산지에서 직접 수입, 도매업체나 무역상을 통한 구매, 온라인 도매 플랫폼 이용 등의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공급업체 선택, 품질 테스트, 계약 및 물류 관리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아래에서 상세한 프로세스를 분석해보겠습니다.

     

    1. 커피 도매 구매의 주요 방법

    1) 원산지에서 직접 수입

    • 장점: 최저가로 원두를 확보 가능, 직접 생산자를 관리할 수 있음
    • 단점: 대량 구매 필수, 복잡한 수입 절차 및 물류 관리 필요

    2) 도매업체나 무역상 활용

    • 장점: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가능, 수입 절차 간소화
    • 단점: 원산지 직접 구매보다 가격이 높을 수 있음

    3) 온라인 도매 플랫폼 이용

    • 장점: 소량 구매 가능, 다양한 품종을 쉽게 비교 가능
    • 단점: 직접 원두 품질을 확인하기 어려움

     

    2. 커피 도매 구매 프로세스 분석

    1) 시장 조사 및 수요 분석

    도매 구매 전에 어떤 원두를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분석해야 합니다.

    • 목적 설정: 카페용, 로스팅용, 프랜차이즈 공급용 등
    • 수요 조사: 예상 소비량, 고객 선호도 조사
    • 예산 책정: 원두 가격, 물류비용, 세금 포함 예상 비용 산출

    2) 공급업체 선정

    커피 원두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업체를 찾습니다.

    • 국내 도매업체 탐색: 대형 커피 도매업체(예: 엘살바도르 커피, 코스타리카 스페셜티 커피)
    • 해외 생산국 업체 탐색: 브라질,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등지의 농장과 계약
    • 온라인 도매 플랫폼 이용: Alibaba, Green Coffee Importers, Mercanta 등

    3) 샘플 테스트 및 품질 검토

    대량 구매 전에 반드시 샘플을 요청하여 품질을 확인해야 합니다.

    • 테이스팅 평가: 아로마, 산미, 바디감, 밸런스 테스트
    • 로스팅 테스트: 로스팅 후 변화를 확인
    • 결점두 검토: 원두 내 불량품 비율 확인

    4) 계약 체결 및 수입 절차 진행

    공급업체와의 협의를 거쳐 계약을 체결합니다.

    • 계약 조건: 가격, 최소 주문량(MOQ), 품질 보증
    • 결제 방식: 선불, 후불, 신용장(L/C) 등
    • 수입 절차:

    5) 물류 및 보관

    대량 구매한 원두는 적절한 창고 보관과 유통관리가 필요합니다.

    • 물류 관리: 국제 배송, 통관, 국내 물류 배분
    • 보관 조건: 습도 및 온도 관리 (1822℃, 습도 5070%)
    • 포장 상태 확인: 벌크 포장 or 개별 소분 여부

    6) 유통 및 판매

    • B2B 판매: 로스터리 카페, 프랜차이즈, 커피 도매업체에 공급
    • B2C 판매: 소규모 카페나 개인 소비자 대상 소량 판매
    • 가격 책정: 원가 대비 도매 및 소매 마진 적용

     

    3. 도매 구매 시 고려해야 할 요소

    1. 최소 주문량(MOQ) 확인: 일부 업체는 최소 60kg~1톤 단위로 판매
    2. 배송 및 통관 비용 고려: 해외 구매 시 물류비용 추가 발생
    3. 수입 허가 필요 여부: 국내 판매용 원두는 식품 관련 허가 필요
    4. 유통기한 및 신선도 관리: 생두는 1년, 로스팅 원두는 2~4주 내 소진 권장
    5. 환율 변동 고려: 원두 가격은 달러, 유로 등으로 결제되는 경우가 많아 환율 리스크 고려

     

    4. 커피 도매 구매 프로세스 요약

    1. 시장 조사 → 원두 품종 및 공급업체 조사
    2. 공급업체 선정 → 국내외 도매업체 비교
    3. 샘플 테스트 → 품질 평가 후 구매 결정
    4. 계약 체결 → 가격 협상 및 수입 절차 진행
    5. 물류 및 보관 → 통관 후 창고 보관 및 유통 관리
    6. 판매 및 유통 → 도매, 소매 판매 진행

     

    결론

    커피 원두 도매 구매는 목적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직접 원산지에서 수입하면 저렴하지만 복잡한 절차와 대량 구매 부담이 있으며, 국내 도매업체를 활용하면 비용이 높아지지만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품질 테스트와 물류 관리가 핵심이며,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과 신뢰할 수 있는 공급망 구축이 필요합니다.

     

    출처:

    • 국제커피기구(ICO)
    •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SCA)
    • 주요 커피 도매업체 사이트 (Mercanta, InterAmerican Coffee)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커피 원두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커피 원두가 생산되며, 이는 기후, 토양, 고도, 가공 방식 등의 차이로 인해 각각 독특한 특징을 갖습니다. 대표적인 커피 원두의 종류와 그 특징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커피 원두의 주요 품종

    커피 원두는 크게 아라비카(Arabica), 로부스타(Robusta), 리베리카(Liberica), 엑셀사(Excelsa) 네 가지 품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아라비카(Arabica)

    • 생산 비율: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60~70%
    • 주요 생산지: 에티오피아, 브라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예멘, 케냐 등
    • 특징:
    • 대표적인 아라비카 원두:

    2) 로부스타(Robusta)

    • 생산 비율: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30~40%
    • 주요 생산지: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브라질, 우간다 등
    • 특징:
    • 대표적인 로부스타 원두:

    3) 리베리카(Liberica)

    • 생산 비율: 세계 커피 생산량의 1% 미만
    • 주요 생산지: 말레이시아, 필리핀, 리베리아, 인도네시아
    • 특징:
    • 대표적인 리베리카 원두:

    4) 엑셀사(Excelsa)

    • 생산 비율: 세계 커피 생산량의 1% 미만
    • 주요 생산지: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 필리핀)
    • 특징:

     

    2. 주요 원산지별 커피 특징

    각 나라에서 생산되는 커피 원두는 지역의 기후, 고도, 가공 방식에 따라 독특한 개성을 가집니다.

    1) 아프리카 지역

    • 에티오피아: 꽃향, 과일향이 강한 밝은 산미 (예가체프, 시다모 등)
    • 케냐: 와인 같은 강한 산미와 깊은 바디감 (케냐 AA)
    • 탄자니아: 균형 잡힌 신맛과 부드러운 단맛 (탄자니아 피베리)

    2) 중남미 지역

    • 브라질: 견과류, 초콜릿 향이 강하며 단맛이 두드러짐 (산토스, 옐로우 부르봉)
    • 콜롬비아: 밸런스가 좋고 부드러운 바디감 (콜롬비아 수프리모)
    • 코스타리카: 산미가 밝고 달콤한 맛이 특징 (따라주)

    3) 아시아 지역

    • 인도네시아: 묵직한 바디감과 스모키한 향 (만델링, 수마트라)
    • 베트남: 강한 바디감과 쓴맛이 특징인 로부스타 중심
    • 인도: 스파이시한 향과 무거운 바디감 (인디안 몬순)

     

    3. 가공 방식에 따른 차이

    커피 원두의 가공 방식도 맛에 큰 영향을 줍니다.

    1) 워시드(Washed) 가공

    • 특징: 깨끗하고 산뜻한 산미, 깔끔한 맛
    • 대표 원두: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케냐 AA, 콜롬비아 수프리모

    2) 내추럴(Natural) 가공

    • 특징: 과일향이 풍부하고 단맛이 강함
    • 대표 원두: 브라질 산토스, 에티오피아 내추럴

    3) 허니(Honey) 가공

    • 특징: 중간 정도의 산미와 단맛의 조화
    • 대표 원두: 코스타리카 따라주 허니, 엘살바도르 허니

     

    4. 상품별 주요 특징 비교

    원두 품종 주요 생산국 맛의 특징 카페인 함량
    아라비카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브라질 산미가 강하고 향미가 풍부 낮음 (1~1.5%)
    로부스타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쓴맛이 강하고 묵직한 바디감 높음 (2~3%)
    리베리카 필리핀, 말레이시아 강한 향과 독특한 과일 맛 중간
    엑셀사 동남아시아 복합적인 신맛과 쓴맛 중간

     

    5. 결론

    커피 원두의 종류는 크게 아라비카, 로부스타, 리베리카, 엑셀사로 나뉘며, 원산지와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풍미를 가진다. 고급스러운 산미와 복합적인 향을 원한다면 아라비카, 강한 쓴맛과 묵직한 바디감을 원한다면 로부스타가 적합하다. 각 나라별 특색을 이해하고 원하는 맛을 찾는 것이 좋은 커피를 즐기는 방법이다.

     

    출처:

    • 국제커피기구(ICO)
    •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SCA)
    • 각국 커피협회 데이터




Copyrigh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