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국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추진과 한국 현황
    Finance/Economy 2020. 7. 15. 14:35

    정책 및 전망

    향후 취해야 할 주요 조치는 의회와 백악관에서 나오는 국가적인 정책 이니셔티브에 좌우될 것이다. 두 종류의 주요 법안으로 스마트 그리드는 진전되어왔다. 2007년 의회는 에너지 독립 및 보안법(Energy Independence and Security Act)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스마트 그리드 기준을 연구 및 확장에 대한 여러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2009년 의회는 경기 부양법안(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을 통과 시켰다. NIST는 이미 스마트 그리드 장치 및 시스템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과 정보 기준을 조정하도록 권한을 부여 받았다.

     

    장비 갱신을 위한 신규 건설 및 재정 인센티브를 위한 에너지 효율 기준을 포함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국가 정책에 힘입어 전력을 미국 산간지방에까지 확장되고, 또한 스마트 그리드가 진전될 수 있도록 장애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투자

     

     미국 스마트 그리드 이행 비용은 1000억 달러에서 4000억 달러 정도이다. UN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전세계 투자는 2020년에 이산화탄소 최고 농도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목표를 충족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투자 수준은 낮아 지긴 했지만 재생 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지속되고 있다. 풍력은 2008 신규 투자 518억 달러로 세계 최대 투자 부문을 유지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 투자에서 330억 달러로 태양 에너지는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2008년도는 획기적인 이정표가 된다. 처음으로, 재생 에너지 총 투자 규모는 화석 연료 투자 규모를 앞섰다. 시장의 실천의지를 감안하면, 스마트 그리드 기술은 의미가 있으며, 심지어 위험 정도도 낮아 지고 있다.

     

    인센티브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연방 정부, 주정부, 지방 정부의 인센티브가 가장 많이 요구될 것이다. 1930년대  REA는 소비자를 직접적으로 대하지 않았다. 대신에 국가 정책의 지원을 받아, REA는 주정부, 지방 정부, 협동조합, 비영리 단체에 장기 대출을 제공하여 전력망 인프라를 구축했다.

     

    국내 배전망 운영기술의 현재와 향후 논문 발최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 중인 배전망 운영시스템(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DAS)은 배선선로의 전압과 전류, 고장정보 등 선로상태를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감시·제어함으로써, 고장발 생시 고장구간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복구로 정전시간을 최소화하 는 시스템이다.

    90년대 초부터 개발되고 90년대 중후반부에 전국 사업소에 설 치되어 운용된 소규모 배전자동화시스템은, 대도시 시외 중소규모 사업소를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PC급 시스템의 단순한 구성과 저렴한 투자비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종합 배전자동화시스템은 2000년도 초반에 개발되어 현재 전국 의 거의 모든 배전사업소에 설치·운용 중에 있으며, 규모에 따라 서 소규모 시스템과 종합 배전자동화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운용 중 에 있다. 대도시와 대규모 설비를 보유한 사업소를 대상으로 설치 되어 운용중에 있으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배전자동화시스템 주장치가 이중화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종합 배전지능화시스템은 이중화된 주장치 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MMI 장치, 그리고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 자동화 개폐기와 단말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배전지능화시스템의 구성은 그림 4.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간 운영서버와 이력서버, GIS 서버, 시뮬레이터뿐만 아니라 두 개 의 미들웨어로 구성하여 첫 번째 미들웨어는 배전자동화와 SCADA 정보를 연계하여 통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두 번째 미들 웨어는 AMR이나 고객정보시스템 등 외부 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구조로 개발되었다. 또한, 기존의 배전설 비와 단말장치 이외에도, 풍력이나 태양광, 열병합발전에도 단말장 치를 추가하여 원격에서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변 전소나 고압수용가도 추가의 단말장치를 통하여 원격에서 관리가 가능하다.

    배전지능화시스템이 이전과 가장 다른 차이점은 배전망을 관리 하는 DMS 기능과 실시간 전기품질 기능, 국제표준 프로토콜 탑 재, 해외 진출을 위한 다국어 버전 개발 등이 있다.

     


    전력IT 실증플랜트 구축 및 운영 연구개발은 전력IT 개발 구성 요소 및 Power Grid 체계에 대한 통합실증플랜트를 구축하고, 시 험 및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테스트베드를 운영하며, 전력분야 국제표준인 공통정보모델 기반의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


    지능형 송전과 능동형 텔레메트릭스, FACTS, 디 지털변전과 배전지능화시스템을 통합 운영하기 위한 스마트 전력 그리드 시스템을 설계(그림 6.2)하여 제주 일대에 각종 실증설비 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참조 :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trend/trendSearchResultDetail.do?cn=GT200902278

     

     

     

    'Finance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차전지 시장 추세  (0) 2020.12.23
    ATE 반도체 자동 시험 장비  (0) 2020.12.23
    시멘트, 레미콘, 레미탈 산업의 특성  (0) 2020.12.21
    조선, 플랜트 산업의 전망 분석  (0) 2020.12.21
    비철금속 산업(동)  (0) 2020.12.21
    인공지능 시장  (0) 2020.12.21
    철도, 가스관, 리조트 관련 기업  (0) 2020.12.20
    2차전지 분리막 코팅  (0) 2020.10.08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