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가면역질환이란?
    Economy/Indicator-Data 2022. 2. 5. 09:49

    인간의 면역계는 인체를 침입한 미생물을 공격하여 제거하는 강력한 힘을 지녔다.

    자기 관용성이 있어서 자기 조직은 공격하지 않는다.

    자가면역질환은 이런 기능이 고장나는 것

     

    자기 관용성을 유지하는 일은 개체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면역계는 몇 겹의 안전장치를 마련한다.

    면역계가 수없이 많은 종류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다양성은 림프구가 세포막에 발현하는 항원 수용체의 다양성에서 기인한다. 다양하게 생겨난 항원 수용체의 종류에는 자기 항원과도 반응하는 수용체가 포함되어 있기에 이들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기전이 요구된다.

     

    자가면역질환의 발병기전

    1. 유전적 감수성 : 대부분의 자가면역질환은 다유전자 질환으로 각 개인의 많은 유전적인 다형태가 질환에 대한 감수성에 기여한다.

    2. 환경적인 영향 : 환경적인 요인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감염이다. 바이러스나 세균의 감염증은 자가면역을 촉발하고 악화시킬 수 있다.

    3. 조직손상의 기전 : 유전적인 소인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자가 면역이 발생하면 면역기전에 의해 조직이 손상된다. 조직의 손상이 일어나는 것은 미생물이나 다른 외부의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과 유사하다.

     - 항체에 의한 조직손상

     - T세포에 의한 질환(제4형 과민반응)

     

    아래 참고에 의하면 자기 관용성 유지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에 Treg와 Th17 세포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치료를 위해 위 기능 조절의 임상적 적용에 대해 기술하며 세포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항체나 싸이토카인 수용체 주입을 통해 Treg와 Th17의 기능을 조절하는 방법이 임상에 적용될 분야로 전망한다. 하지만 아직 부작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만큼 연구되어야 한다.

     

    참고
    · 자가면역질환 소개 | 김 진 이·최 종 선 | 강원의대 미생물학교실 | Jini Kim, MS·Jongseon Choe, PhD 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Immu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자가면역질환의 발병기전 | 송영욱, 김진현 | 서울대 외과대 내과학교실 | Medical POSTGRADUATES No.2. Vol. 34. 2006

Copyrigh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