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생상품의 경제적 의미와 법적 분류체계
-투자에 발생하는 현금흐름과 가치가 기초자산의 가치에 의존해 '파생되는(derived)' 금융상품
-금융혁신(financial innovation) 또는 금융공학의 결과로 생성된 투자수단 > 조건부 청구권(contingent claim)
2) 역사적 발전
-파생상품과 유사한 개념의 계약과 거래는 오래됨 수백년 역사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상인들이 곡물이나 노예 등을 대상으로 가격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선도거래
-1600년대 일본의 봉건영주들은 기상악화나 전쟁위험으로부터 쌀 가격 변동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선도거래
-17세기 네덜란드에서 튤립에 대한 옵션거래는 세계 금융 역사상 최초의 거품 사례를 탄생
-1848년 현대화된 최초의 장내 파생상품시장인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설립
-1970년대 이후 파생상품의 다양화 및 거래규모 증가
-1970년대 이전까지는 일반상품의 가격 변동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의 파생상품의 거래가 주종
-1970년대 이후부터는 금융자산의 가격변동을 관리하고, 투기를 위한 수단으로 금융파생상품이 급속 성장
-위험의 사유화(privatization of risks)의 관리수단으로 개발
-1971년 고정환율제도에서 변동환율제도로 전환되면서 환위험 관리 목적으로 1972년에 시카고 상업거래소(CME)에서 최초의 금융파생상품인 통화선물이 상장
-인플레이션과 1973년 10월 1차 오일 쇼크 발생에 따라 이자율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리선물거래
-1973년 블랙과 숄즈가 옵션가격결정모형(OPM)발표
-1990년대 중반 이후 세계금융시장에서는 파생상품에서 비롯 대규모 실패사례 및 금융위기가 주기적 발생
-미국의 서브프라임(subprime)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도 파생상품이 주된 요인으로 인식
-국내에서도 KIKO라고 알려진 통화파생상품으로 인해 많은 중소기업들이 손실을 입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각국에서 파생상품시장에 대한 규제 및 감독 강화
-파생상품시장은 지난 40년간 세계 금융산업에 가장 급성장하며 발전되었음
-한국에도 1996년에 최초 도입된 이후, 거래활동에서 글로벌 상위 시장으로 급성장
-과거에는 특수하고 전문적인 분야에서 현재에는 투자, 금융 분야에서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분야로 정학됨
-파생상품은 순기능 외에도 역기능을 갖지만, 경험적인 부작용을 이유로 긍정적인 기능까지 부정할 수는 없음
-파생상품 이용에 따라 발생하는 부작용에 대해서는 각종 법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
3) 파생상품과 금융공학
-금융이론에 공학기법을 접목하여,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을 통해 신종금융상품을 개발
-투자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기존의 금융상품들을 결합(bundling)하거나, 분해(unbundling)하여 새로운 금융상품을 개발하는 업무
금융상품A + 금융상품B = 복합금융상품이되고
기초자산에 > 금융공학을 접목하여 > 파생상품을 만듦
-복합금융상품들과 파생상품은 금융공학 발전의 산물이자, 금융회사의 업무영역 확대에 기여함
-혁신적인 금융투자상품의 개발에 따라 거래소에 상장된 장내상품들보다 거래소 밖에서 거래되는 장외 OTC 투자상품들이 급격히 증가하고있는 추세
4)대안투자(alternative investment)와 파생상품
투자 (대안투자, 전통적 투자, 파생상품)
대안투자 : 부동산, 벤처투자, 사모펀드, 헤지펀드, 암호화폐, 인프라, ......
파생상품(전통적 투자의 기초자산, 투자방법)
뉴파생상품(대안투자, 투자방법)
법적체계1)금융투자상품의 요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포괄적으로 정의
-명칭과 형태를 불문하고 '원금손실이 발생할 가능성(투자성)'이 있는 모든 금융상품
-금융상품 중 원금손실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예금과 보험계약을 제외한 모든 금융상품들은 금융투자상품
-단, 예금 중에서도 주가연계예금과 같이 투자성이 있는 예금이나 변액보험과 같이 보험료 원금에 손실이 발생할 수있는 보험 등은 금융투자상품에 해당
2)영역
영거주의 : 예금(은행법), 보험계약(보험업법), 유가증권, 파생상품(증권거래법)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에 따라
포괄주의 : 예금(은행법), 보험계약(보험업법) 이외 나머지는 금융투자상품으로 간주함
3)법적 정의
제3조 금융투자상품
권리를 취득하기 위하여 지급하였거나 지급하여야 할 금전등의 총액(판매수수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을 제외한다) 이 그 권리로부터 회수하였거나, 회수할 수 있는 금전등의 총액(해지수수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을 포함한다)을 초과하게 될 위험이 있는 것을 말함
1. 증권
2. 파생상품
으로 구분함
4)증권과 파생상품의 구분 기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은 원금의 손실 범위에 따라 증권과 파생상품을 분류
증권 (원금까지 손실이 발생 가능한 금융투자상품)
파생상품 (원금을 초과하여 손실이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
금융상품 - (원본손실가능성) - (원본초과손실가능성) -(거래소 시장 거래 여부)
원본손실가능성-금융, 비금융
원본초과손실가능성-파생상품
거래소 시장 거래여부-장내, 장외
5) 3개 기본적 파생상품
선물(선도), 옵션(option), 스왑(swap) 대부분의 파생상품들은 기본적 변형과 결합이 됨
-구성요소에 따른 정의
-제5조
1.약정하는 계약 '선물형'
2.권리를 부여하는 계약 '옵션형'
3.산출된 금전등을 교환할 것을 약정 '스왑형'
6)기초자산의 요건
1.금융투자상품
2.통화(외국의 통화 포함)
3.상품(농산물,축산물,수산물,임산물,광산물,에너지원료)
4.신용위험
5.이자율, 가격, 지표, 단위 산출이나 평가가능한 것
6. 그밖의 자연적 환경적
7) 기초자산에 따른 분류
-상품 파생상품 : 농산물, 금속, 에너지
-금융 파생상품 : 기초자산 금융상품, 주식, 채권, 환율, 주가지수, 파생 금융상품
-날씨파생상품
-신용파생상품
8)장내파생상품과 장외파생상품의 분류
-파생상품시장에서 거래되는 것 : 장내파생상품
-장외파생상품
9)파생결합증권(securitized derivatives : SD)
-기초자산의 가격이나 이자율, 지표, 단위 또는 기초 지수 변동과 연계하여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만기의 수익이 결정되는 증권
-수익이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 정해진다는 점은 파생상품의 특성이지만, 투자에 따른 손실이 원금 이내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증권으로 분류
-상품의 특성은 파생상품 + 법적인 분류는 증권 > 소매구조화상품(retail structured products)
-주가연계증권(equity-linked securities ; ELS)
-주식워런트증권(equity-linked warrants ; ELW)
-상장지수증권(exchange-traded notes ; ETN)
10)기초자산별 글로벌 파생상품시장 규모와 비중 * 18년 futures industry association
equity index 33%
individual equity 19%
interest rates 15%
currency 13%
energy 7.4%
11) 주요 파생상품 품목 상장 거래소 수 *18년 48개 세계 거래소 응답
주가지수 선물 : 약 33
주가지수 옵션 : 약 31
12) 지역별 글로벌 파생상품시장 규모와 비중 18년
아시아 37%
북미 34.9%
유럽 17.4%
13)글로벌 상위 파생상품거래소
1위 CME Group
2위 National stock exchange of india
3위 B3(브라질)
...
9위 korea exchange
파생상품의 주요 기능
1) 기능 정리
-수요자 니즈에 다양한 거래방식으로 현금흐름 창출
-위험관리(risk management)
-투자액과 거래비용의 절감(transaction cost)
-기초자산시장의 가격발견(price discovery)
2)다양한 거래방식으로 현금흐름 창출
-기초자산이나 파생상품을 보유하지 않아도 매도가 가능하며, 기초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시기 또는 특정 상황하에서도 수익을 창출하는 등 투자전략의 다양화 추구
-파생상품을 활용한 거래방식
-차익거래(arbitrage transaction)
-헤지거래(hedge)
-투기거래(speculation)
3)거래방식
-차익거래 arbitrage transaction : 파생상품의 시장가격과 이론적 가격간의 괴리가 발생시, 가격간 차이를 얻기 위해 합성파생상품과 실제 파생상품을 반대 포지션으로 거래
-헤지거래 hedge : 현물의 가격변동 위험을 없애기 위해 파생상품과 현물을 반대 포지션으로 거래
-투기거래 speculation : 파생상품 가격변동에 따른 시세차익의 획득을 목적으로 위험을 감수하고 파생상품의 포지션으로 거래
*위험을 감수하는 거래를 포괄적으로 표현하는 투기라고 쓰임
4)파생상품의 투자위험도
채권 : 전체위험도를 모두 포괄함, 초고위험과 고위험(투기등급포함BB 이하), 중위험(회사채BBB+~BBB-), 저위험(금융채와 회사채 A-이상), 초저위험(국고채, 통안채,지방채, 보증채, 특수채)파생결합증권 : ELS, DLS는 초고위험,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으로 나뉘며 ; ELW는 초고위험
주식 : 초고위험(신용거래, 투자경고종목, 투자위험종목, 관리종목), 고위험(주식) 으로 분류될 수 있음
집합투자증권 : 전체위험도 포괄, 초고위험(파생상품펀드), 고위험(주식형), 중위험(혼합형), 저위험(채권형), 초저위험(MMF)
선물옵션 : 초고위험(선물옵션)
5)위험관리
-투자위험을 조절하기 위해 위험을 분리하거나 거래하는데 활용
-주로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가격변동을 제거하는 헤지
-다른위험관리 방법과 비교
>보험 : 손실 발생 위험을 제거 목적
>분산투자 :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개별 자산의 위험을 상쇄
6)투자액과 거래비용의 절감
-파생상품의 투자액과 거래비용은 기초자산의 투자액과 거래비용보다 저렴하므로, 현물보다 높은 투자수익을 창출하는 레버리지 효과 발생
-투자자의 시장참여가 용이하므로 현물시장보다 유동성(liquidity)이 높고, 시장의 정보효율성을 제고함
7)기초자산의 가격발견(price discovery)
-가격발견은 시장에서 거래를 통해 가격이 형성되는 과정
-파생상품 시장은 기초자산의 미래 가격에 대한 시장참여자들의 예측을 반영하여, 기초자산의 가격발견 기능을 수행함
-투자자들은 현물시장보다 상대적으로 거래비용이 저렴한 파생상품시장을 선호하여 기초자산 가격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거래할 수 있음
파생금융상품의 주요한 기능은 위험관리, 차익거래, 거래효율성, 가격발견의 기능이 있고 위험관리의 방법으로는 분산투자, 헤지, 보험 등이 있다.
1970년대 오일쇼크이후 파생상품의 시장이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이번 오일가격의 급상승은 이런 파생상품의 발전이후에 맞이하는 것으로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지켜봐야할 것으로 생각됨